아우터조인 2

오라클 SQL과 PL/SQL ( OUTER JOIN 주의사항 / SELF JOIN )

ORACLE OUTER JOIN 주의사항 오라클 아우터 조인은 WHERE절의 아우터 조인이 되는 컬럼들에 대해서는 전부 아우터 조인 연산자(+)를 붙여야 합니다. 만약 하나라도 빠진다면 결과는 일반 조인과 동일하게 되어 원하지 않는 데이터를 추출하게 됩니다. 만약 부서에 대한 정보를 모두 보여주고 부서 번호가 20인 사원의 사원번호 이름 급여를 보여주는 예제를 본다면 사원 테이블의 조인 유무와 상관없이 부서정보를 보여주기 위해서는 아우터 조인을 사용해야 합니다. 기준이 되는 테이블이 부서 테이블이므로 WHERE절에 사원테이블의 모든 컬럼에 아우터 조인 연산자를 붙입니다. SELECT D.DEPTNO, D.DNAME, D.LOC, E.EMPNO, E.ENAME, E.SAL FROM DEPT D, EMP E..

오라클 SQL과 PL/SQL ( OUTER JOIN )

OUTER JOIN ( 아우터 조인) INNER JOIN은 모든 테이블에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결과값을 출력했습니다. OUTER JOIN은 INNER JOIN과 반대로 한쪽 테이블에는 데이터가 있고 한쪽 테이블에 없는 경우에 데이터가 있는 쪽 테이블의 내용을 전부 출력하는 방법입니다. 앞에서 살펴본 학생 테이블과 교수테이블의 예에서 학생은 있는데 지도규사가 결정이 안되었을 경우 이너조인으로는 학생이름이나 교수이름이 조회가 안되었습니다. 반드시 지도교수가 결정되지 않은 학생의 이름이나 교수의 이름까지 다 나와야 하는 경우라면 아우터 조인을 사용하면 됩니다. 모든 데이터를 다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좋을 것 같지만 이 조인방식은 DB성능에 아주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만약 A , B 테이블을 조..

728x90